한경석 편집국장

얼마 전 신문에 우리나라 행복지수가 세계에서 56위라고 발표했다. 작년에는 우리가 15위를 차지한 바 있다. 이것은 GDP가 아닌 GNH(Gross National Happiness·행복지수)로 계산한 것이다.

DP(Gross Domestic Product)는 ‘한 국가에서 발생하는 제품과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모두 더한 값’이다. 바꿔 말해 경제주체들이 대한민국 영토 내에서 생산한 재화의 가치를 화폐단위로 환산하면 GDP가 되는 것이다. 사실 국가 간 교류협력이 활발하지 않던 과거에는 GDP보다 GNP가 널리 사용됐었다.

그렇지만 자본과 노동의 국가 간 이동이 빈번해지자 경기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GNP의 한계가 들어났다. 그러나 GDP의 결함은 크게 ‘의도한 국가 경쟁력이 현실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과 ‘국민의 복지수준이 빠져있다는 점’이다.

일례로 가사노동과 지하경제가 빈번하게 거론된다. 실제 우리나라의 가사노동자, 쉽게 말해서 주부의 월 평균 임금은 68만3000원이다. 또 가사노동자의 여성비율은 99.8%, 평균 연령은 53.3세, 그 수는 최대 60만명에 이르는 실정이다. 이처럼 가사노동은 엄연한 가치를 창출하는 경제활동임에도 시장을 통해 거래되지 않는다.

즉 ‘자가 생산 후 소모되는 재화’이다. 이러한 GDP의 결함은 경제성장률에 집착한 나머지 삶의 질을 높이는데 소홀해 질 수밖에 없다는 비판으로 나온다. 그리고 이를 대표하는 나라가 바로 한국이다. 그래서 최근 GDP를 대체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전개 중이다. 그 중에서 가장 각광받는 건 행복지수이다.

유엔이 발 빠르게 나선 것도 이 때문이다. 그 속에는 소득, 교육, 빈곤, 실업, 환경, 건강, 종교 등 인간생활과 관련된 여러 가지 기본요소들을 기초로 사회생활에서 느끼는 행복감을 측정하고 있다. 또 UN 자체조사인 각국 초·중·고 교육수준, 문맹률, 기대수명, 의료수준 등의 자료도 포함된다.

그렇게 해서 2011년에는 187개국을 조사해 노르웨이, 호주, 네덜란드, 미국, 뉴질랜드, 캐나다, 아일랜드, 리히텐슈타인, 독일, 스페인, 스위스, 일본, 홍콩, 아이슬란드, 대한민국 순으로 나와 우리나라가 15위를 차지, 매우 높은 국가군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2012년에 발표된 유엔 행복보고서(WHR·World Happiness Report)는 낮은 소득, 식량부족, 보건 의료에의 낮은 접근성, 안전한 의식주 부족, 교육기회의 부족으로 저소득층의 고통이 높으므로 소득의 증가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기초생활이 어느 정도 증가되면 행복은 소득보다 개인이 속한 공동체의 상황과 개인적인 차원(안정된 고용, 개인의 자유와 안전, 높은 수준의 신뢰, 견고한 공동체, 정부와 기업의 건전한 지배구조 등)에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156개국에서 이루어졌는데 우리나라는 56위를 차지했다. 이것은 일본(44위) 대만(46위) 말레이시아(51위) 태국(52위) 보다 뒤쳐졌고 중국(112위) 보다는 나은 것이다. 부탄은 정부의 공정성, 투명성 확보 등의 노력으로 국민의 97%가 행복하다고 느끼는 유엔이 인정한 인류가 지향해야할 미래의 국가다. 우리나라는 어떻게 해야 할까. 물론 정치인이 해야 할 몫이 너무나 많다.

정치 선진화 방안, 정치 개혁방안 등 많은 정책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우리도 해야 할 일이 있다. 인간은 자신의 운명은 자신이 책임진다는 자세로 살고, 불평을 하지 말고, 도전적 자세로 살아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티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