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청과 학교는 학부모와 교육시민단체를 진정한 동반자로 인식하길

구자송 공동대표

교육공동체의 목적을 위하는 것이 학교 민주주의다.

교육 민주주의는 구성원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소수의 의견도, 반대도 소통으로 인정해야 한다. 구성원간 소통을 대원칙으로 진정성 있게 함께 해야 한다.

소통과 협력의 교육공동체를 위해서는 모두가 참여하는 토론회를 실시해야 한다.

교육공동체 토론회는 사전에 의견수렴이 필수이다.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공통분모에 주제를 취합 토론 준비를 해야 한다.

하지만, 당일 주제가 없거나 정해진 결과를 위해 대충 모여서 간담회 형태로 진행하는 방식은 지양해야 한다. 학교장 인사말(발제), 교무부장 단위학교 특성 부연 설명, 학부모들의 대표성 일부 발언, 학생들 준비된 의견 발표, 마무리 정리후 마감 보고서 작성은 잘못된 방향이다.

이런 형식을 벗어나 진정한 토론문화를 위해서는 반대 의견도 다양성을 가지고 토론해야 한다. 객관성과 중립성을 가지려면 학생. 학부모. 교사와 마을 교육공동체 플랫폼으로 지역사회(졸업 학부모/시민사회)가 함께 해야 한다.

또한, 교육공동체 ‘토론회’에서 학교정책 진행 보고나, 시설 투자 내용 등 ‘보고회’ 형태는 배제해야 한다. 토론의 본질을 훼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교는 충분한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거버넌스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그래야 준비과정에 피로도가 없다. 학교는 판만 벌려주고 내용은 구성원들이 채워야 한다.

진정한 학교 민주주의는 무엇인가?

기본 준비 과정부터 자율성을 존중해 줘야 한다. 교육의 주체인 학부모는 대부분 직장인이다. 단위 학교에서는 학부모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다양한 창구를 개설하고 관리해야 한다. 가령, 전화, SMS 문자, 가정통신문, 학부모회, 홈페이지 게시판 등의 소통창구를 통해 학부모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학부모총회에 학부모들의 많은 참여가 어려운 부분과 동일한 문제점이다. 단위 학교는 다양한 학교 현안에 대해 자율성으로 풀어가고, 교육청은 학교의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해 정확한 가이드라인을 단위학교로 내려 보내야 한다.

매년 되풀이되는 내용이지만, 단위학교의 문제점에 대해 학교측에 의견제시나 민원을 제기하는 경우, “대부분 교육청의 지침으로 어쩔 수 없다”라고 반문한다. 또한, 교육청에 질의하는 경우는 더욱 가관이다. “단위학교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교육청이 이래라 저래라 간섭하기가 어렵다.”고 발뺌을 한다.

학교자치는 구성원들과 충분한 협의를 통해 이뤄지는 것이다. 거창한 구호가 아니다.

이제라도 교육청, 단위학교는 조그만한 것이라도 내려 놓아야 한다. 소위 말하는 권위와 특권으로 인식하는 것은 곤란하다.

바야흐로, 미래교육과 학교는 4차혁명의 시대로 들어가고 있다. 교육과 학교에서 진정으로 중요한 것은 사람과 사람간의 소통이다. 경청과 소통만이 미래교육을 보장할 수 있다. 교육청과 학교는 학부모와 교육시민단체를 진정한 동반자로 인식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티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