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후학교 사회적 협의가 필요하다.

구자송 공동대표

교육감 선거에 이슈 방과후학교이다.

우선 방과후학교를 학교가 지금 운영하는 방식에 고민을 해보자. 지자체 이관도 함께 고민해보자.

운영에 학교측 입장도 이해는 하지만 강사들의 입장과 아이들 형평성부분으로 우선 이야기를 진행해보자.

또한 본질은 잘해보자는 부분도 함께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좋은 결론을 만들고자 문제의식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자는 생각이다.

문제를 알아야 해법도 나오기 때문이다.

첫째, 현재 대부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은 정규교과 부분과는 다른 영역이 운영되고 있다. 교육의 소비자 학생중심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함께 고민해보자.

 

둘째, 지금까지 운영하는 시간은 대부분 5시까지다. 올해는 1~2학년 본수업은 ‘2015개정교육과정’ 적용으로 주당 2시간 정도 정규교과 과정이 늘어난다.

방과후수업은 정규수업이후 2교시 정도이다. 지역교육생태계 조정이 불가피하다.

수업 역시 방과후 교사(외부강사)가 운영한다.

매우 열약한 환경이다. 고용불안, 기타 처우부분 등이 산재돼 있다.

프로그램 재료비 등은 자비로 우선 선지급 구입하며, 추후 사후정산 행정실에서 지급받는다. 이 또한 역차별이다.

정규교과 수업은 재료비등 선행구입하고 있고 철저한 검수도 한다. 아니러니한 정책이다. 아이들을 교육하는데 차별이 웬말인가?

하지만 강사들은 말도 못 꺼낸다. 이유는 고용의 불안이 먼저이기 때문이다.

 

셋째, 학교에서 방과후운영은 5시정도까지 운영한다. 대부분 학교선생님이 관리한다.

결국 담당부장과 방과후 교사들이 운영하는 시스템이다.

교육감 후보들은 방과후를 공교육의 영역에 포함할려고 한다.

방과후학교는 도입시 취지가 학생, 학교밖 청소년, 성인 등 평생교육의 방점을 가지고 출발했다.

현재 단위학교 행정력으로는 포화상태라고 본다. 인력과 행정력 고민 없이 방과후 활성화는 깊은 고민을 해야 한다.

단위학교 현장과 지역특성 등을 충분히 고려하고 판단해야 한다.

교사들의 업무경감도 충분히 고려해서 정책을 고민하기 바란다. 1달이라도 방과후 수업을 해보시면 잘 알 수 있다.

그리고 방과후 강사들은 처우 개선이 필요하다. 묵묵히 일하는 모습은 스스로 자정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인가? 이유는 생존이다. 이점을 이해해야 한다. 개선이 시급하다.

학교측에 공제하는 7%는 무엇인가? 시간당 강사비책정이 아닌 학생수 당 얼마로 결정한다. 열약한 방과후 프로강사는 1달 평균 30만원 수준 이하의 비용을 받고 있다.

이런 열악한 환경속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1달 최대 4개 학교를 수업해도 120만원 이하 수준이다.

물론 인기강좌도 있다. 하지만 고용의 불안은 늘 잠재되어 있다.

강사채용이 학교측에 있기 때문이다. 또한 면접시 서류상 면접에만 학부모대표만 참여 한다. 실무 면접에는 대부분 배제되고 있다. 또 다른 문제를 안고 있다는 점이다.

토요방과후는 대부분 오전만 운영한다. 급식등 부분에 문제점도 있기 때문이다.

지자체로 이관하는데는 적극 찬성한다.

그리고 운영에 관한 포괄적인 부분을 함께 고민하고 방과후 강사들의 열악한 환경과 차별에 대한 부분도 논의 되어야 한다. 지역특성도 고려해서 심도있게 고민해야 한다.

이 부분에서 마을교육공동체를 이야기 할 수 있다. 학교를 개방한다면 정말로 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토요일 개방을 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방과후학교 설립시 교육 대상은 해당 학교의 학생뿐 아니라 타교 학생과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 성인까지 확대할 수 있으며, 교육 장소는 학교와 지역사회의 다양한 시설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화 한부분이다. 이런 점 잘 지켜지고 운영되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단순하게 학교운영, 지자체운영 주체의 문제로 떠넘기기식으로 하지 말고 방과후학교를 시작한 본질(사교육경감, 방과후 보육) 을 다시 한번 더 파악하고 사회적으로 협의를 해야 한다.

 

저작권자 © 티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