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승화 티뉴스 자문위원

 
바야흐로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시대다. 빅데이터, 모바일, 웨어러블이 새로운 화두로 등장하면서 무선 인터넷을 활용한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물의 연결은 이미 옛말이 됐다. 이미 ICT에 기반을 둔 새로운 기업들이 전 세계 경제를 주도하고 있다.

이런 추세는 광고 사업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포스터 형태의 일률적 광고에 익숙했던 옥외 광고가 최근에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ICT기반의 광고 형태로 변화되고 있다. 일부 버스 정류장과 지하철역에는 이미 대형 디지털 사이니지와 결합한 ICT 기반의 전자 광고판이 선보이고 있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택시 Top 및 버스 측면을 활용한 디지털 광고가 선보이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아직 이러한 움직임이 더딘 편이다.

최근 버스내부에 디지털 사이니지를 설치해 각종 정보 및 광고를 내보내는 형태의 움직임은 있으나 특히 택시의 경우는 아직 과거 아나로그 방식의 광고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0년부터 일부지역에서 택시지붕에 LED(LCD) 광고시스템을 설치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현재도 택시 지붕 광고는 문자를 이용한 기존의 단순광고에 불과한 실정이다. 시대변화에 따른 새로운 옥외 광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것.

올 들어 최경환 국회의원(새누리당, 현기재부장관)을 중심으로 국회의원 13명이 모바일 택시 광고 운행과 관련된 내용을 담은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 개정안을 공동 발의했다. 이에 따라 모바일 광고 택시사업이 본격화할 수 있는 법률적 제도의 정비는 이뤄졌다.

이제는 택시 등에도 IT강국에 걸맞는 최첨단 모바일 택시광고를 어떻게 사업화하는냐가 관건이다. 모바일 택시광고의 핵심은 택시기사 및 관련 업체의 수익원 다변화 방안이다. 승객감소 등으로 어려움에 직면한 택시운수종사자들에게 새로운 수익의 돌파구를 안겨 줄 수 있어야 한다. 더불어 장비 설치업체 및 정비업체, 외부광고업계에도 새로운 수익모델을 제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법률적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택시조합과 지방정부의 인식전환을 통한 협업도 중요하다. 모바일 광고 시스템 구축은 단순한 광고산업 확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택시업계 전체의 발전을 꾀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 이를 통해 얻게 되는 수익이 어려운 환경 속에서 근무하는 택시기사들의 처우 개선에 쓰일 수 있도록 택시업계와 정부, 지자체의 인식전환 및 협조가 적극적으로 요구되는 때이다.
저작권자 © 티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