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면한 경영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구조조정을 결정했습니다”

KT 황창규 회장은 취임 이후 구조조정을 단행해 8304명의 직원을 정리했다. 2003년 5497명, 2009년 5992명 이후 세 번째 대규모 구조조정이었다. 이로 인해 KT 임직원은 약 3만2000명에서 약 2만4000명으로 30% 가까이 줄었다.

하지만 KT의 구조조정 여파는 영세한 중소도시 시민들에게 고스란히 전해지고 있다. 올 8월 청양지사와 양양지사를 각각 홍성지사와 속초지점과 통폐합하면서 큰 홍역을 치르더니 최근에는 부안지부 전화국(4월 폐쇄)에 이어 서비스센터인 KT플라자마저 김제로 이전하기로 해 원성이 더욱 심하다.

지난 4월 말 부안전화국이 폐쇄된 이후, KT 부안지사는 정읍지사로 통폐합됐다. 8월 31일자로 그나마 유지되었던 부안전화국 플라자마저 폐쇄하고 김제전화국으로 관련 업무를 전부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들어 이전을 11월로 연기하기는 했으나, 군민들은 여전히 6만여 부안군민의 뜻이나 향후 발생될 통신서비스 관련 불편사항 등의 민원에 대하여는 아랑곳 하지 않고 자사의 이익득실 만을 앞세운 조치라는 반응이다.

노령인구가 대부분인 농촌지역에서는 KT를 지금도 과거 ‘전화국’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크다. 한국전력이나 우체국처럼 지역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공공기관으로 여기고 있는 것이다. 부안의 경우 가뜩이나 문화적 여건이 미흡한데 시내에 몇 안되는 공공성을 가진 기관들이 빠져나가자 공동화 현상은 물론 주민들의 상실감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현재 KT는 통신서비스 민원 처리를 100번 자동응답시스템으로 신고 받아 처리하고는 있지만, 농어촌 주민들의 연령과 지역특성상 번거롭고 까다로운 신고 접수 방법과 접수지연으로 그 동안 많은 불만이 있어 왔다. 그럼에도 이를 숙고하지 않고 밀어부치기식 폐쇄 결정을 한 것에 대해 곳곳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는 형국이다.

이같은 사태는 비단 부안뿐만 아니라 충청도와 경상도 등지에서도 일방적인 전화국 폐쇄조치에 대한 집단적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충남 청양군에서도 KT가 청양지사를 홍성지사로 통폐합한 뒤 KT플라자마저 홍성으로 이전하려하자 청양군과 군의회가 강력 대응하고 나섰다. 심지어 의회가 나서 KT불매운동까지 거론하자 KT 측이 주춤하며 발을 빼는 모양새다.

따라서 우리 부안도 향후 겪어야 할 서비스 불편 사항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은 상황에서 보다 강력한 대응을 해야 한다는 주문이 끊이지 않고 있다. 또한 KT 노조 등 내부에서도 전화국 폐쇄는 국민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과 의무를 다하고 고객 최우선 정도 경영을 하겠다는 KT의 계속적인 주창과는 반대되는 행위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편, 부안군 의회와 부안군청에서도 주민들의 보편적 통신서비스 제공을 사적이익에 따라 차별 제공하겠다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며 반드시 유지를 시킬 수 있도록 다각적인 방법을 찾아 행동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어 향후 사태가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되고 있다.

저작권자 © 티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