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24일 용산공원 조성사업을 차질없이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거듭 밝혔다.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된 한미안보협의회의(SCM)에서 한국과 미국 정부가 전시작전통제권이 용산미군기지 내 한미연합사령부를 남겨두기로 결정함에 따라 용산공원 조성사업의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에 따른 것이다.

특히 한미연합사 잔류 결정으로 인해 국토부와 서울시의 ‘용산공원 조성계획’을 재조정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 SCM회의에서는 전시작전권 전환시까지 연합사 본부의 기능 발휘가 가능하도록 필수 적정 규모의 인원과 시설을 용산기지 내에 유지하기로 했다.

따라서 국토부는 그간 국방부와 협의를 거쳐 용산공원 조성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두 가지로 봤다.우선 현재 한미연합사 본청 건물은 연합사의 잔류여부와 관계없이 보존대상 시설에 포함돼 있어 반환 이후에도 계속 용산공원에 존치할 예정이다. 특히 한미연합사 본부는 필수 적정규모로 잔류가 예상되므로 전체 공원조성계획에 미치는 영향은 경미할 것으로 판단했다.

구체적으로 용산기지 메인포스트에 있는 △연합사 본부인 '화이트 하우스' △작전센터(CC서울) △미8군사령부 건물과 △미국 대사관 부지(7만9000㎡) △드래곤힐호텔(8만4000㎡) △헬기장(5만7000㎡) 등을 합치면 용산기지 부지(총 265만㎡)의 약 18% 가량이 잔류할 가능성이 크다.

용산공원조성추진기획단(국토부) 관계자는 “당초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공원조성 일정은 변경하지 않고 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한미연합사 잔류지역은 여건변화를 감안해 공원조성시기를 조정(당초 2단계→변경 3단계)해 추진할 예정이다. 정부는 당초 용산기지를 1단계(2019~2021년), 2단계(2022~2024년), 3단계(2025~2027년)로 나눠 조성할 계획이었다.

국토부가 지난 2011년 발표한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에 따르면 용산공원조성의 핵심은 ‘남산~용산공원~한강’의 단절된 남북 녹지축과 수자원을 복원하는 데 초점을 뒀다.

앞서 한미 양국은 2007년 11월 용산기지와 미2사단 기지(경기 동두천) 등을 대체할 평택기지(349만평 규모) 기공식을 개최하고 현재 공사가 한창이다. 2016년 기지 완공을 목표로 현재 약 73%의 공사 진척도를 보이고 있다.

저작권자 © 티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