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선정·경제성 논란 등 ‘가시밭길’

영남권 신공항 건설이 가시화 됐다. 항공수요 증가에 따라 김해공항이 2023년 사실상 포화 상태에 이를 것이라는 예측결과가 나와 국토교통부가 사전 타당성 조사에 들어가기로 한 것.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이 신공항으로 맞붙었지만 지역간 갈등만 키운 채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사업이 중단된 지 3년만이다.

◆김해공항 포화…영남권 항공 수요↑
26일 국토교통부가 한국교통연구원과 파리공항공단(ADP)에 용역을 맡긴 결과에 따르면 김해·대구·울산·포항·사천 등 영남지역 5개 공항에 항공 수요가 꾸준히 몰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967만명에 이른 김해공항의 승객수는 △2015년 1093만명 △2020년 1487만명 △2025년 1816만명 △2030년 2162만명 △2035년 2353만명 △2040년 2497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2015~2030년 연평균 증가율이 4.7%에 이른다.

이 같은 장래 항공수요 증가에 따라 김해공항은 2023년에 활주로 혼잡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2011년 이명박 정부 수요 조사 당시 김해공항 포화시기가 2027년으로 나온 것에 비해 4년이나 앞당겨진 것이다.

다니엘 샬리에르 ADP 용역 책임자는 “빠르게 성장하는 저비용항공사(LCC) 때문에 여객 수요가 날로 늘고 있는데다 아직 개통되지 않은 LCC 잠재수요가 있다”며 “영남지역에는 강력한 항공 수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수요조사로 영남지역 5개 공항 중에서 김해공항에 신공항이 들어서는 것이 유리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대구 등 나머지 4개 공항은 수요가 늘기는 하지만 활주로 용량이 수요에 비해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영남지역 항공수요조사로 사실상 신공항 건설 재추진 근거가 마련됨에 따라 관련 지자체는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히고 있으나 신공항 유치경쟁에 다시 본격적으로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

◆지자체간 유치경쟁 치열
2006년 당시 노무현 대통령의 검토 지시로 추진된 영남지역 신공항 건설계획은 부산 가덕도가 유력한 후보지로 떠올랐으나 최종 경제성 분석이 진행 중이던 2009년 대구·경북지역 지자체들이 밀양을 밀면서 지역 간 갈등이 본격화됐다. 이후 지자체 간 대립이 첨예화되면서 이명박 정부는 2011년 신공항 건설을 백지화했다.

경제성이 미흡하다는 결론이 나와 백지화 됐으나 이후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다시 거론하면서 관심사로 떠오르며 결국 용역 결과가 나온 상태다.
하지만 앞으로 진행될 타당성 조사는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국토부는 5개 관련 지자체 간 검증 기준에 대한 합의를 거치겠다고 발표했지만 사전 타당성검토에서 착수하기까지는 많은 난관을 걸쳐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국토부는 5개 지자체 합의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최정호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이번 수요조사 결과 장래 항공수요에 맞춘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신공항의 입지, 규모, 경제성 등에 대한 엄밀한 검증을 위해 5개 지방자치단체 간 합의를 거쳐 사전타당성 검토 용역을 착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방공항 대부분 만성적자
지방공항이 하나 더 늘어나는데 대한 우려도 나온다. 현재 14개 지방공항 중 김포·제주·김해공항을 제외한 나머지 11개 지방공항이 만성적자다.

국내 5위 공항인 청주국제공항도 2011~2013년 3년 동안 평균 운영 적자가 53억원에 이른다. 2009년 민영화(운영권 매각) 대상으로 선정되면서 시설투자도 제자리걸음인데다, 시설 노후화로 이용객들의 불만도 높다. 즉 영남권 신공항 건설에 대한 논란이 확대될 경우 신공항을 건설하지 않고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방법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다.

이를 의식하듯 국토부에서도 신공항 건설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 있다. 최 실장은 "장래 항공수요에 대비한 대책이며 여러가지 대안을 놓고 타당성 검사를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33곳의 지역을 추가한 뒤 입지와 경제성, 규모 등에 대해 검증에 들어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티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